대학수학능력평가는 이미 학력고사가 되었다
학력고사의 폐단을 없애고, 단순 암기식 지식습득에서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을 길러 대학수학에 필요한 능력을 가졌는지 평가하겠다는 목적으로 대학수학능력평가(이하 수능)가 도입되었다. 대학은 수능의...
Think Educationalization
학력고사의 폐단을 없애고, 단순 암기식 지식습득에서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을 길러 대학수학에 필요한 능력을 가졌는지 평가하겠다는 목적으로 대학수학능력평가(이하 수능)가 도입되었다. 대학은 수능의...
내신등급, 수능등급… 이놈의 상대평가로 갈려진 등급은 사람이 가진 가능성과 능력을 부정하고, 가축과 같은 쓸만한 상품인지 아닌지 구분짓기 위한 도구일 뿐이다....
한국전쟁 이후 산업성장으로 대한민국은 다시 살아 났다. 가벼운 물건을 제조해서 내다 팔고, 무거운 물건을 제조해서 내다 팔고, 더 크고 무거운...
대한민국정부가 설립된 이래로 교육부는 존재해왔다. 하지만, 교육전문가로 여겨질 수 있을 만한 인물은 찾아보기 어렵다. 심지어 초중등교육의 경험자는 전무하다. 교육부장관쯤 되려면,...
학교 밖에서 답을 찾으려는 노력을 무시하려는게 아니다. 학교교육은 이미 인류역사에 자리잡은 썩 괜찮은 교육시스템이다. 학교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증기기관도 만들었고, 반도체도...
교사가, 책이, 매스미디어가, 멀티미디어가, 월드와이드웹이, 스트리밍미디어가 가르치고 있는 세상이다. 생성형 인공지능은 이 모든 것들을 학습했다. 인공지능에게 교사의 역할을 부여하지 않았고,...
교사는 교실에 갇히기 쉽다. 교실은 나만의 왕국이 아니다. 교사들과 교류하며 커뮤니티를 형성해야 하고, 학교 밖 친구를 통해 다양한 세상을 만나야...
질문을 강제할 수 없다. 질문하는 법을 가르치려는 것인지, “질문을 만들어 보자”, “친구에게 질문을 해보자”, “글쓴이에게 질문해 봅시다”며 모두가 달성해야 하는...
교육부의 즉흥적으로 밀어붙이는 인공지능 디지털 교과서 정책으로 혼란이 많다. 전쟁을 준비해야 할 때라는 공감대와 달리, 그저 난립한 무림고수들의 화려한 칼춤...
아주 불편한 장면들이 여전하다. 교육 컨퍼런스 말머리에 아직도 90년대 일제식 수업교실 사진으로, 미래교육을 위해 변화해야 한다는 캐캐묵은 동기유발은 이제 그만하자....